맨위로가기

1952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2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1952년 7월 19일부터 8월 3일까지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복싱의 강준호와 역도의 김성집이 각각 동메달을 획득하여,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메달 없이 동메달 2개로 대회를 마쳤다. 복싱, 역도, 육상, 사이클, 레슬링, 승마 종목에 선수들이 참가했으며, 특히 육상 마라톤에서 최윤칠이 4위를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대한민국 - 부산 정치 파동
    부산 정치 파동은 1952년 이승만의 장기 집권을 위한 대통령 직선제 개헌 시도에 대한 반발로, 계엄령 선포, 국회의원 체포, 발췌 개헌안 통과 등의 사건이 발생하여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훼손한 사건이다.
  • 1952년 대한민국 - 평화선
    평화선은 1952년 이승만 대통령이 발표한 '인접해양의 주권에 관한 대통령선언'에 따라 설정된 해상 경계선으로, 한국 연안의 수산 자원 보호와 주권 확보, 특히 일본 어선의 남획 방지를 목적으로 했으며, 한일어업협정으로 대체되기 전까지 양국 간의 갈등 요인이었다.
  • 195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52년 하계 올림픽 영국령 기아나 선수단
    1952년 하계 올림픽 영국령 기아나 선수단은 역도 종목에 세실 무어 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세실 무어는 남자 라이트헤비급에서 합계 342.5kg을 기록하여 17위를 하였다.
  • 195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52년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1952년 하계 올림픽에 중화인민공화국은 건국 후 처음으로 선수단을 파견하여 국기를 게양하는 상징적인 사건을 만들었으나, 수영 선수 우촨위의 준결선 진출 실패와 중화민국의 불참으로 냉전 시대의 이념 갈등을 드러냈다.
  • 195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52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52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24개, 여자 9개 종목에서 57개국 선수들이 참가하여 미국이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고, 에밀 자토펙이 3관왕을 달성하며 다수의 올림픽 및 세계 기록이 수립되었다.
  • 195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52년 하계 올림픽 역도
    1952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7개 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 대한민국 김성집은 미들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1952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대회 정보
NOC대한민국
NOC 명칭대한체육회
대회하계 올림픽
연도1952
개최지헬싱키
참가 선수19명
참가 종목6개 종목
기수불명
순위37위
금메달0개
은메달0개
동메달2개
총 메달2개
웹사이트대한체육회 (한국어/영어)

2. 메달 집계

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은 동메달 2개, 총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2. 1. 메달리스트

메달이름종목세부 종목날짜
-- 동메달강준호복싱남자 밴텀급8월 2일
-- 동메달김성집역도남자 미들급7월 26일


2. 2. 종목별 참가 선수 및 메달 집계

종목참가 선수------메달 합계
복싱40011
역도40011
육상60000
사이클30000
레슬링10000
승마10000
합계190022



메달선수 이름종목세부 종목
--강준호복싱남자 밴텀급
--김성집역도남자 미들급


3. 종목별 성적

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여러 종목에서 값진 성과를 거두었다.


  • - '''복싱'''에서는 강준호밴텀급 동메달을 획득하여 한국 복싱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 - '''역도'''에서는 김성집이 남자 미들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역도 선수 최초로 올림픽 2회 연속 메달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육상'''에서는 비록 메달은 없었지만, 최윤칠이 남자 마라톤에서 4위를 기록하며 한국 육상의 밝은 미래를 예고했다.

'''레슬링''',
'''사이클''',
'''승마'''에서도 대한민국 선수들은 최선을 다했지만, 아쉽게도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3. 1. [[파일:Boxing pictogram.svg|30px]] 복싱

강준호밴텀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복싱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당시 한국 복싱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훈련해야 했고, 국제 대회 경험도 부족했다. 강준호의 동메달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얻어낸 값진 성과였다.

선수세부 종목32강16강8강준결승결승순위
한수안플라이급헬무트 호프만|호프만de (Saar|자르영어)
TKO (R1)
Sakti Mazumdar|삭티 마줌다르영어 (India|인도영어)
3-0
Willie Toweel|윌리 토윌af (South Africa|남아프리카 공화국영어)
0-3
진출 실패
강준호밴텀급Fazlollah Nikkhah|파즐롤라 니카fa (Iran|이란영어)
3-0
Davey Moore|데이비 무어영어 (United States|미국영어)
2-1
Seán McNally|존 맥널리ga (Ireland|아일랜드영어)
0-3
동메달
서병란페더급Alfred Willommet|알프레드 윌로메프랑스어 (Suisse|스위스프랑스어)
3-0
Ján Zachara|얀 자하라cs (Czechoslovakia|체코슬로바키아영어)
0-3
진출 실패
주상점라이트급Leopold Potesil|레오폴트 포테실pl (Polska|폴란드pl)
0-3
진출 실패


3. 2. [[파일:Weightlifting pictogram.svg|30px]] 역도


  • - 역도에서 대한민국은 김성집이 남자 미들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김성집은 대한민국 역도 선수 최초로 올림픽 2회 연속 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대한민국 역도가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선수종목프레스인상용상총계순위
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
김해남남자 밴텀급(–56 kg)80895312042954
남수일남자 페더급(–60 kg)90990151201230011
김창희남자 라이트급(–67.5 kg)1008105614023454
김성집남자 미들급(–75 kg)122.51112.55147.55382.53


3. 3. [[File:Athletics_pictogram.svg]]|30px]] 육상

'''트랙 / 도로 경기'''

종목선수1차 예선2차 예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남자 200m엄팔용23.05 (H13)진출 못함
남자 마라톤최윤칠colspan=6 |2:26:364
최충식colspan=6 |2:41:2333
홍종오colspan=6 |완주 못함-



'''필드 경기'''

종목선수예선결선
기록 (m)순위기록순위
남자 세단뛰기최영기14.4418진출 실패
여자 투포환최명숙10.7620진출 실패



비록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최윤칠은 남자 마라톤에서 2시간 26분 36초의 기록으로 4위를 차지하며 한국 육상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당시 한국 육상은 국제 수준과 큰 격차가 있었지만, 최윤칠의 선전은 앞으로의 밝은 미래를 예고하는 듯했다.

3. 4. [[File:Wrestling_pictogram.svg]]|30px]] 레슬링

선수세부 종목예선 (상대 / 결과)16강전 (상대 / 결과)8강전 (상대 / 결과)준결승 (상대 / 결과)결승 (상대 / 결과)최종 순위
오태근라이트급 (−67 kg)네테스하임 (독일)
(16-4)
갈 (헝가리)
0-3
진출 실패


3. 5. [[File:Cycling_(road)_pictogram.svg]]|30px]] 사이클

'''남자'''

선수종목시간순위
권익현도로독주완주 못함-
김호순도로독주완주 못함-
임장조도로독주완주 못함-
권익현개인 도로 경기완주하지 못함-
임장조개인 도로 경기완주하지 못함-
김호순개인 도로 경기완주하지 못함-
권익현, 임장조, 김호순단체 도로 경기완주하지 못함-


3. 6. [[File:Equestrian_pictogram.svg]]|30px]] 승마

선수종목총 감점순위
민병선개인 장애물59.75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